1. Linux
# 리누스 토르발스가 커뮤니티 주체로 개발한 kernal
# 오픈소수 개발의 표본
# 다중사용자, 다중작업, 다중스레드 지원하는 네트워크운영체제(NOS)
# 부팅수준에서 GRUB 등을 통해 여러 OS로 부팅 지원
# 리눅스 배포판은 핵심시스템 외 대다수 소프트웨어 포함(200여종류의 배포판 존재)
# 인텔386 Microprocesser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PC,WS,스마트폰, 임베디드시스템 등 지원
2. Ubuntu 설치
기존 리눅스 운영체제에서 설치,유지보수,사용환경 기능을 제공함
리눅스도 다양한 OS가 존재함 : CentOS, Redhat, Pedora, Ubuntu
2-1. 설치Ubuntu iso 파일 다운 : https://www.ubuntu.com/download/desktop
└ 최신버전 중 LTS(Long Term Support) 장기간 유지보수 지원버전 다운
2-2. USB 부팅디스크 생성
└ 부팅 USB 생성프로그램 다운 : https://rufus.ie/
2-3. 설치진행(BIOS USB 부팅순서 상위 변경)
#1. 언어설정, 사용자정보입력
#2. 파티션 설정
- root(12GB,논리,Ext4,'/' : 시스템프로그램 관련파일 설치
- boot(500MB,주,Ext4,'/boot') : 부팅시스템(GRUB) 파일 설치
- home(나머지,논리,Ext4,'/home') : 사용자 데이터 영역 #모든 사용자데이터 저장, 이후 시스템재설치시 재활용
- swap(4000MB,주,swap area) : 시스템스왑영역 RAM용량의 1.5~2배
- var(6GB,논리,Ext4,'/var') : 로그,임시파일 생성
- EFI(512MB,주, EFI) : 부팅정보저장
* SSD 256GB 기준,
- 주파티션 : EFI 2GB / boot 2GB
- 로지컬파티션 : root 80GB / var 80GB / home 80GB
>> pip,NVIDIA 관련 lib 용량 상당수 필요 - root 용량확보
>> Docker 이미지 관련 용량 상당수 필요 - var 용량확보
>> 프로그램파일 용량확보 - home
※ Ubuntu 기본 설치 가이드 : https://www.linuxtechi.com/ubuntu-18-04-lts-desktop-installation-guide-screenshots/
※ 하드디스크, 파티션개념
1. MBR(Master Boot Record)
- BIOS가 읽고 시작하는 섹터
- 파티션 정보 읽기, 부팅가능 파티션인식, 각 파티션의 부트섹터를 읽어들이는 프로그램 포함
- 하드디스크가 나누어진 정보 저장(첫트랙의 첫섹터)
- 최대 나눌수 있는 파티션 : 주파티션x3 + 확장파티션(논리)x4 = 7개
- 주파티션마다 각각 부트섹터가 할당되는데 어느곳의 부트섹터를 우선 읽어야하는지 모름 > MBR에 자신의 부트레코더 기록&실행
2. Primary(주파티션)
- 파티션 앞에 부트섹터가 할당되서 운영체제설치가능
- 주파티션에 OS설치시 부트섹터에 부트레코더 기록 및 MBR에기록
- Active Primary(활성 주 파티션) : MBR에 부트레코더가 기록된 파티션
└ OS설치된 주파티션의 각 부트섹터에는 부트레코더가 기록됨.
└ 그중 하나는 MBR에 적재되어 활성주파티션이 됨.
3. Extended(확장파티션)
- 논리드라이브를 감싸는 벽
- 확장파티션은 하나의 물리디스크에 하나만 설정가능하며 4개의 논리드라이브를 가질수 있음
4. Logical(논리드라이브)
-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드라이브, 부트섹터가 없어 운영체제 설치 불가
+ 디스크정보 조회
$ fdisk -l /dev/hda